fnctId=bbs,fnctNo=12856
- 작성일
- 2025.06.16
- 수정일
- 2025.06.16
- 작성자
- 윤성효
- 조회수
- 26
화산의 활동성에 기초한 분류
화산은 활동성이 기초하여 1) 활화산, 2)사화산으로 구분한다.
1) 활화산(活火山; active volcano): 현재 분화 활동을 하고 있거나, 지금은 활동하지 않지만 과거 1만년 이내에 분화한 경험을 가진 화산(즉, 휴화산)을 포함하여 활화산으로 정의한다.
*과거 1만년 이내라는 용어: 홀로세(Holocene)는 약 11,700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로,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따뜻한 간빙기 시기를 말한다. 인간의 수명에 비하여 화산의 활동 후 휴지기(쉬는 시간)는 매우 긴 시간이기 떄문에 휴화산 또는 분화 가능성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던 화산이 깨어나서 갑작스럽게 분화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, 휴화산(potentially active = dormant)은 그림에서와 같이 지하에 마그마방이 살아 있기에 언제든지 잠재적 분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. 그래서 현재 화산학에서는 활화산으로 분류한다.
2) 사화산(死火山; extinct volcano): 화산체의 지하에 마그마방이 없어 더 이상 분화할 가능성이 없는 화산
사화산은 현재 활동을 하고 있지 않으며, 미래에도 활동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화산이다. 사화산을 단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. 아주 오랜 기간 동안 활동이 없어 사화산으로 여겨졌던 화산이 다시 활동을 재개하는 일도 종종 있어왔다.
==> '휴화산'이란 용어는 현대 화산학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.
1) 활화산(活火山; active volcano): 현재 분화 활동을 하고 있거나, 지금은 활동하지 않지만 과거 1만년 이내에 분화한 경험을 가진 화산(즉, 휴화산)을 포함하여 활화산으로 정의한다.
*과거 1만년 이내라는 용어: 홀로세(Holocene)는 약 11,700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지질 시대로,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따뜻한 간빙기 시기를 말한다. 인간의 수명에 비하여 화산의 활동 후 휴지기(쉬는 시간)는 매우 긴 시간이기 떄문에 휴화산 또는 분화 가능성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던 화산이 깨어나서 갑작스럽게 분화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리고, 휴화산(potentially active = dormant)은 그림에서와 같이 지하에 마그마방이 살아 있기에 언제든지 잠재적 분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. 그래서 현재 화산학에서는 활화산으로 분류한다.
2) 사화산(死火山; extinct volcano): 화산체의 지하에 마그마방이 없어 더 이상 분화할 가능성이 없는 화산
사화산은 현재 활동을 하고 있지 않으며, 미래에도 활동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화산이다. 사화산을 단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. 아주 오랜 기간 동안 활동이 없어 사화산으로 여겨졌던 화산이 다시 활동을 재개하는 일도 종종 있어왔다.
==> '휴화산'이란 용어는 현대 화산학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.
- 첨부파일